'투자노트'란? | '투자노트'는 필자가 공부한 내용을 요약한 노트입니다. 대외적으로 공신력 있는 자료가 아니며, 소통을 위한 포스팅 도구로만 사용될 예정입니다. |
[투자노트] 'NFT(Non fungible Token)'는 버블인가 새로운 시장인가 (1. 엔터테인먼트 산업)
https://invetech.tistory.com/27
[투자메모] 'NFT(Non fungible Token)'는 버블인가 새로운 시장인가 (1. 엔터테인먼트 산업)
'투자노트'란? | '투자노트'는 필자가 공부한 내용을 요약하기 위한 메모입니다. 대외적으로 공신력 있는 자료가 아니며, 소통을 위한 포스팅 도구로만 사용될 예정입니다. '비트코인ETF'가 최초
invetech.tistory.com
엔터에 이어 유망한 'NFT' 접목 산업은 '게임'이다. 한국하면 떠오르는 게임 장르가 무엇일까? 인터넷의 등장은 게임 산업의 큰 변화를 가져왔다. 80-90년대 일본과 미국이 독식하고 있던 비디오 게임 시장 속에서 2000년대 이후 온라인 게임이라는 장르가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그 변화로 게임 산업의 주역으로 떠오르는 것이 바로 게임강국 '대한민국'이다.
온라인 게임이 '메타버스'의 시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상공간에서 게이머는 캐릭터를 생성하고, 사냥을 통해 캐릭터를 육성하는 것 이외에도 길드라는 커뮤니티에 소속되어 다른 유저들과 소통을 한다. 또 다른 하나의 세계에서 활동을 하는 것이다.
게임에서 사용되는 통화를 이용해 아이템을 거래하고, 유저들간에 흥정도 이루어진다. 또한 개발사는 이벤트를 열어 '특수 아이템', '한정판 전설의 무기' 등을 배포한다. 글을 읽으면서 무엇인가를 느꼈는가? 맞다. 바로 'NFT'와 같은 성격이다.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1/05/15/4QGGEGRTK5CSTCF6HYDDOMN46U/
NFT에 꽂힌 게임사, 블록체인 차세대 먹거리로 키운다
NFT에 꽂힌 게임사, 블록체인 차세대 먹거리로 키운다 정체된 수익구조 깨기 위해 블록체인에 관심 카겜·네오위즈, 사업목적에 블록체인 추가 블록체인, 확률형 아이템 조작 원천 차단 NFT, 아이
biz.chosun.com
게임사들이 'NFT'를 게임에 접목 시키고 있다. '이더리움'을 이용해 아이템 거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자사의 코인을 발행해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를 활용한 대표적인 게임은 게임 개발사 '대퍼랩스'가 만든 ‘크립토키티’다. 가상화폐인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하는 NFT 기반 게임이다. 이 게임의 이용자는 가상 브리더(동식물을 교배·사육하는 등의 직종, 또는 그 직종을 가진 사람)가 돼 가상 고양이를 키우고, 번식시킨다. 각각의 고양이는 고유 설정값을 지니며, 외형도 모두 달라 현실의 고양이처럼 서로 다른 가치를 갖고 있다.
한편 한국 게임사 위메이드는 '위믹스(WEMIX)' 라는 코인을 만들어 위믹스NFT옥션(WEMIX NFT AUCTION) 을 통해 아이템 'NFT'경매를 진행하고 있다.
WEMIX NFT AUCTION
WEMIX NFT AUCTION is a premier market for artists, curators and collectors to experience the new creative economy. Discover and invest on rare digital items and crypto assets.
wemixauction.com
'NFT'로 게임 아이템을 소유하게 된다면, 가장 크게 바뀌는 부분은 게임 속 아바타의 '생태계 이동 자유화' 이다. 과거 온라인 게임들은 개발사 입장에서 수익이 나지 않을 경우 서비스를 종료하게 되는데, 종료와 동시에 유저의 캐릭터가 사라졌다. 게임에 투자한 유저의 시간과 현금 모두가 추억속으로 사라지는 것이다.
하지만 'NFT'로 게임 아이템을 소유하고 있다면, 모 게임이 사라져도 본인의 아바타와 아이템은 고스란히 유지된다.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을 생각하면 한번에 이해할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iCyZUt3uz0
주인공은 상금으로 받은 돈으로 아바타를 치장하고 무기나 이동수단을 구매한다. 또한 모든 아이템들은 가상공간 모든 경기(게임)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개발사는 'NFT' 라는 수단을 통해 게임 이외에 계속해서 자신들의 사업 분야를 확장할 것이다. 앞서 언급한 위믹스NFT옥션(WEMIX NFT AUCTION) 에서는 이미 예술작품 경매도 시작했다. 이렇게 사업 영역이 일정 범위까지 확대되면, 각 생태계에서 개발사 자신들의 코인을 기축통화로 사용하게 할 것이다.(플레이어가 경매 참여로 지불하는 거래수수료는 개발자의 보상으로 돌아가게 된다.) 물론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의 다른 코인들과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타 개발사의 생태계로 이동하는것도 쉽다.(각 개발사들은 상호 코인 스왑으로 거래소를 이용하지 않아도 환전을 할 수 있게 만들 것이다.)
이렇게 'NFT'와 '게임 산업'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소개를 했다. 추후 로블록스(Roblox)와 마인크래프트(Minecraft), NFT 게임사와 스팀(Steam)의 법적 공방의 준비에 대해서도 번외편으로 다뤄보도록 하겠다.
[투자노트] 'NFT(Non fungible Token)'는 버블인가 새로운 시장인가 (3. 예술 산업)
https://invetech.tistory.com/36
[투자노트] 'NFT(Non fungible Token)'는 버블인가 새로운 시장인가 (3. 예술 산업)
'투자노트'란? | '투자노트'는 필자가 공부한 내용을 요약한 노트입니다. 대외적으로 공신력 있는 자료가 아니며, 소통을 위한 포스팅 도구로만 사용될 예정입니다. [투자노트] 'NFT(Non fungible To
invetech.tistory.com
이상.
Disclaimer | 본 포스팅은 특정 시점에서 투자 참고 자료를 바탕으로 필자의 주관적인 내용이 포함된 글입니다.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 매도 의견이 아닙니다.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으며, 기업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가 아님을 밝힙니다. 단순 참고용으로 사실과 다른 내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정확성 또한 보장할 수 없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주식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음을 밝힙니다. 또한 향후 투자의 움직임은 내용과 무관할 수 있으며, 접근 또는 활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해에 대하여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음을 알려 드립니다. |
'블록체인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노트] 'NFT(Non fungible Token)'는 버블인가 새로운 시장인가 (3. 예술 산업) (2) | 2021.11.01 |
---|---|
[투자노트] 'P2E(Play to Earn)' 모델의 초석을 다지는 '위메이드(WEMADE)' (0) | 2021.10.29 |
[투자노트] 'NFT(Non fungible Token)'는 버블인가 새로운 시장인가 (1. 엔터테인먼트 산업) (0) | 2021.10.26 |